지난해 말 북한 무인기 침투 이후 드론작전사령부 창설을 준비해 온 국방부가 지난달 관련 법안을 입법예고했다.
하지만 드론 전력을 활용해 감시‧타격, 전자기전 등의 임무와 드론 전력의 전투발전 업무를 수행했다고 공개했지만, 부대 창설에 따른 임무와 전력 등이 명확하게 제시된 게 없다.
이런 가운데 창설 부대 위치가 포천이라는 언론보도가 나오자 포천 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6군단 부지라고 했다가 15항공단으로 바뀌었고, 이번엔 6공병여단 부지에 들어선다고 한다.
포천 지역정치권에서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최춘식 의원과 백영현 포천시장은 6군단 부지와 15항공단에 들어선다는 보도가 나왔을 때 국방부와 창설준비단장의 말을 인용, 절대 있을 수 없는 사안이라고 했다. 그러나 6공병여단 부지라는 언급에 대해선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반기는 모양새다. 포천시가 드론산업을 육성할 기회가 될 뿐 아니라 창설 부대 주변 고도제한이나 군사시설보호구역 확대 지정이 없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드론사령부 창설에 따른 명확한 임무와 전력 등이 제시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주변 지역의 고도제한이나 군사시설보호구역 확대 지정이 없을 것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자의적인 해석이다.
포천의 미래가 어떤 모습일까?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포천에는 최근 6군단이 해체되기 이전까지 2개 군단 사령부가 주둔했었다. 여기에 군단 사령부 예하부대와 군 사격장까지 더하면,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기 힘든 군사도시다. 극심한 피해가 발생해도 제대로 된 보상도 못 받으면서도 숙명으로 받아들일 수 밖에 없었던 과거를 떠올려야 한다.
드론작전사령부가 포천에 창설한다는 건 미래에도 계속 군사도시로의 상존을 의미한다. 드론산업 육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가 자칫 포천을 군사도시로 고착화시키는 것은 아닌지 되짚어 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