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장수, 행복일까? 불행일까?
상태바
[기고] 장수, 행복일까? 불행일까?
  • 김병연 시인/수필가
  • 승인 2016.10.21 10: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대 그리스인의 평균수명은 19세였고, 16세기 유럽인의 평균수명은 21세에 불과했다.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 발걸음을 떼기까지 보통 1년이 걸린다. 게다가 스스로 먹이를 취하거나 적으로부터 자신의 생명을 지키고 2세를 출산할 수 있는 나이까지 성장하려면 최소한 15세는 되어야 한다. 원시시대의 평균수명이 20세 안팎이었다고 할 때, 인간이 생태계에서 적들로부터 생명을 지키고 종족을 보존하기에는 턱없이 불리해 보인다. 하지만 인간은 모든 동물과의 생존경쟁에서 살아남았고 꾸준히 수명을 늘려왔다. 지금의 인류에게는 더 이상 생존을 위협하는 적은 인간 이외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

평균수명이라고 하는 통계숫자에는 전쟁이나 기아, 전염병 등으로 인한 인류의 집단 사망의 결과가 포함되었을 것이므로 평균수명과 인간 개개인의 수명과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어쩌면 평균수명의 연장이라고 하는 것은, 한 인간이 건강하게 살다가 자연사하게 되는 최고치의 수명과 인간집단의 평균수명 간의 간극을 좁혀온 과정이라고 보는 것이 옳을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장수의 염원을 품는 것이 가능했다고 할 수 있으며, 동서고금의 역사가 말해주듯이 인류의 가장 큰 소망 중의 하나는 장수였다.

그것은 진시황의 불로초처럼 상징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실제적인 과학적 성과로 나타나기도 해서 21세기에 들어선 지금 인간의 평균수명은 80세를 도달하게 되었다. 이 수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80세 이상을 산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그렇게 염원하던 장수의 꿈이 거의 이뤄졌고 아직도 수명연장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는데, 사람들은 오래 살게 된 것에 대해 별로 행복해하는 것 같지 않고 기껍게 받아들이지도 않는 것 같다. 오히려 갑작스럽게 닥친 재난처럼 호들갑스럽게 연금의 고갈을 걱정하고 텅 비어 버리거나 질병으로 시달릴지도 모를 노후에 대해 거의 두려움에 가까운 염려를 하고 있다.

이제 인간은 그토록 오랫동안 꿈꿔왔던 장수가 단순히 수명을 늘리는 것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을 직시해야 될 것 같다.

인간에게 있어서 고통은 오랫동안 기억되고 기쁨은 찰나에 스쳐간다. 그래서 인간은 아직 오지 않은 미래의 모든 가능성에 대해 불안과 두려움을 먼저 생각한다.

출산율은 점점 떨어져 OECD 국가 중 최하위이고 노인은 급격히 늘어나는 요즘, 장수는 인간에게 고려장처럼 불행이 될 공산이 크다. 하지만 풍요로운 나라를 만들고 사회안전망을 잘 구축한다면 행복이 될 수 있다. 그것은 국가와 개인의 노력 여하에 달렸다. 만사 유비무환(有備無患)이다.

김병연 시인/수필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