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전쟁터같은 포천의 현실, 1천명 삭발 강경투쟁 예고한 포천사회
상태바
[칼럼] 전쟁터같은 포천의 현실, 1천명 삭발 강경투쟁 예고한 포천사회
  • 포천일보
  • 승인 2019.01.09 10: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하승완 포천일보 대표

지난 67년 동안 사격장과 군부대 시설 등으로 온갖 고통을 감내해 왔던 포천시민들이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며 대정부 강경투쟁을 예고하고 있다.

정부가 국가안보라는 이유로 수십년간 희생만을 강요하면서도 버려진 땅으로 치부해 왔다는 것이다. 게다가 정부의 SOC예타면제 대상사업으로 포천시민의 염원인 전철7호선 연장노선을 선정해 줄 것인지 여부도 불확실하다는 이유에서다.

포천시 지역에는 주한미군 최대 훈련장인 로드리게스 사격장과 동양 최대 규모의 승진훈련장 등 9개소가 존재한다. 이같은 군사시설 면적만 하더라도 1530만평 규모로 여의도 면적 17.4배에 달한다. 이곳에서의 훈련은 일반인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강도 높게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투기와 헬기사격, 탱크, 장갑차 사격 훈련은 실제 전쟁 가상시나리오로 행해진다.

전쟁터를 방불케하는 훈련은 지역주민들에게는 참을 수 없는 고통이다. 특히 미군전용 로드리게스 사격장 주변지역 주민들은 민가로 날아드는 도비탄과 유탄 등 때문에 불안감에 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미군측과 국방부에 항의도 해 보고, 시위도 해 봤지만 임시 처방책만 내 놓았다는 게 주민들의 생각이다. 미군 로드리게스 사격장 앞에서는 엄동설한에도 피해방지 대책을 마련해 달라며 1174일째 1인 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군 훈련장은 포천지역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장애물이다. 미군 사격장 주변, 영중면과 영북면은 젊은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 지경이다. 사격장 피해를 견디다 못해 떠날 사람은 대부분 떠나갔다는 얘기다. 2003년 6700명이었던 영중면 거주 인구는 2018년 5100명대로 줄었고, 영북면은 1만1200명에서 8900명으로, 창수면은 3400명에서 2200명선으로 감소했다. 그나마 남겨진 사람 또한 대부분이 65세 이상 노인층으로 지역경제가 파탄날 지경이다.

이처럼 피폐해지고 있는데도 정부와 미군측은 보상대책은커녕 안전대책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새로 건설되는 군사시설에 대해서 엄청난 혜택을 주고 있다는 점은 포천시민을 자극하고 있다. 정부는 훈련장보다 427배 작은 규모의 직도사격장이 위치한 군산시에는 3000억원을 투입해 11개 국책사업을, 사드배치 지역인 성주군에는 22개 국책사업에 1조3000억원 투입을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이들 지역보다 수백배, 아니 수천배 고통을 겪어 온 포천시에 대해선 아무런 보상책을 내 놓지 않았다. 게다가 포천의 피해는 현재도 진행형이고 미래에도 지속될 수 밖에 없다. 국가안보 차원에서 보상이라면 포천지역에도 직도사격장과 사드배치와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정당하다.

포천시민들과 포천시가 전철7호선 포천연장선에 대한 정부의 예타면제 대상으로 선정해 달라는 것은 무리한 요구가 아니다. 그동안의 피해와 앞으로 진행될 피해를 감안한다면 더 더욱 그렇다. 전철7호선 포천연장선이 예타면제 대상에서 제외될 경우 포천시민과 포천시의 저항은 격렬해 질 것으로 보인다.

오는 16일 포천시민들은 광화문 광장에서 1만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를 예고했다. 1천명이 정부정책을 비판하는 삭발식도 가질 예정이다. 삭발은 저항하고 반대한다는 의미다. 수십명이 아닌 1천여명이 삭발하겠다는 것은 포천시와 시민들이 군사훈련장 피해를 그냥 보고만 있지 않겠다는 뜻이다. 극한 대정부 투쟁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포천시는 그동안 국방부에 제공한 50만평 규모의 토지 무상임대나 군부대에 제공하고 있는 각종 혜택을 배제하는 등의 행정조치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민들은 미군 전용사격장 폐쇄나 이전을 요구하는 격렬한 시위를 예고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사람이 먼저다’라는 정책기조를 내세우고 있다. 포천의 훈련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실은 결코 사람이 먼저라고 말할 수 없다.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되고 있지만, 아직도 포천지역의 현실은 결코 그렇지 않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마땅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