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년간 포천인구 7천 200명 증가에 불과…쇠락의 그늘 지역정치권 뭘 했나? 
상태바
57년간 포천인구 7천 200명 증가에 불과…쇠락의 그늘 지역정치권 뭘 했나? 
  • 포천일보
  • 승인 2023.01.15 1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市승격 2003년 보다 오히려 3천 500명 감소 왜 이럴까

14만6701명 지난해 12월 기준 포천시 인구다. 남자는 7만7707명, 여자는 6만8994명이다.

2003년 포천군이 도농복합시로 승격할 때 인구는 15만240명이었다. 20년 전과 비교하면 3539명이 줄어든 셈이다. 강산이 두 번이나 바뀌었는데도 인구가 줄었다는 것은 그만큼 도시 발전이 없었다는 얘기다. 한마디로 앞날이 어둡기만 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과거에는 어땠을까. 통계청 자료를 보면 지난 1966년 인구는 13만9498명으로 나타났다. 5년 뒤엔 12만6992명으로 줄었다. 포천에 주둔했던 미군이 떠나면서다. 지난 1985년에는 10만8524명으로, 19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3만974명이 포천을 떠났다. 이러다가 지난 1990년부터 인구가 조금씩 늘기 시작했다. 1990년 당시 11만918명이었던 인구는 2000년에 14만5981명으로 늘었다.

지난 2003년엔 포천읍(3만5045명)과 소흘읍(3만1718명) 등을 합쳐 15만명을 넘었다. 이런 이유로 그해 10월18일 도농복합시로 승격됐다. 이때만 해도 대도시로 바뀌는 듯한 분위기였다. 실제 지난 2008년 인구는 16만176명에 이르렀다. 그러나 여기까지였다.

 

◇ 57년의 세월 누구를 원망해야 하나

16만명을 넘어선 이후 단 한 번도 증가하지 못한 채 내리막길이다. 2015년 15만5192명에서 2019년 2월엔 15만명 선도 무너졌다. 2020년 14만7274명이던 인구는 지난해 12월 14만6701명으로 줄었다. 최근 3개월 동안 인구도 계속 줄고 있다.

지난해 10월 14만7171명에서 11월에는 14만7019명, 12월엔 14만6701명으로 감소했다. 3개월 동안 470명이 빠져나갔다.

충격적인 사실은 지난 1966년 당시 인구보다 7203명밖에 늘지 않았다는 점이다. 57년의 세월이 지난 상황을 고려하면 누구를 원망해야 할지 답답하기만 하다.

신읍동 시가지 일부 지역, 포천초등학교 인근과 포천축협 주변은 옛 건물이 포천의 낙후성을 보여주고 있다.
신읍동 시가지 일부 지역, 포천초등학교 인근과 포천축협 주변은 옛 건물은 포천의 낙후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 인구감소 지역정치권 ‘니 탓 내 탓’ 논쟁만

현재 포천은 인구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된 상태다. 사실상 위기나 다름없다. 그런데도 걱정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정치권은 서로 헐뜯기에 바쁘다.

지난 6·1 지방선거 때 인구소멸 문제를 놓고 시장 후보 간 공방이 오갔다.

백영현 포천시장은 “포천시가 인구감소 위험지역으로 지정된 것은 박윤국 전 시장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했다.

박윤국 전 시장은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한 시기(2009년)는 서장원 시장(국민의힘)이 재임하던 때였다”고 맞대응했다. 결론 없는 논쟁에 불과했다.

사실 인구문제는 포천시뿐만 아니라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출산율 저조와 함께 청년은 고향을 떠나고, 고령자는 늘고 있어서다.

포천시도 지난 2019년 15만명 선이 붕괴되면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인구감소에 따른 대책도 내놨다.

‘내 가족 포천 주소 갖기 운동’을 시작으로 전입 대학생한테 생활 안정 장학금 10만원, 군 복무자에겐 제대군인 정착장려금 20만원을 지원해줬다.

인구정책 포럼도 열었다. 그러나 야심 차게 추진했던 인구 늘리기 운동은 효과를 얻지 못했다. 각종 기반시설이 부족한 게 원인이다.

◇ 면적은 서울 1.4배 도시 모습은 민망할 정도

포천시 면적은 826.96㎢로 서울의 1.4배나 된다. 경기도에선 3번째로 넓다. 하지만 도시기능을 갖추지 못한 채 제자리걸음이다.

다른 도시에 비해 문화예술, 편의시설 등 주거복지 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 대신 소규모 공장과 산업단지가 수두룩하다. 군사시설도 꽤 있다. 심지어 포천시청이 있는 포천동 거리엔 아주 오래된 건물이 여기저기 눈에 띈다. 상권이 형성됐다고 하기엔 민망할 정도다.

이러다 보니 포천동 인구는 줄었고, 소흘읍 인구는 5만명이 넘어섰다. 우스갯소리로 소흘읍은 ‘강남’, 포천동은 ‘강북’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인구를 늘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말로는 뭐든 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밑그림이고, 이를 실천하는 게 중요하다.

◇ 미래지향 청사진 그리고 국도비 확보가 관건

지금의 포천은 변해야 한다. 단기적인 정책보다는 미래지향적인 청사진을 마련해 계획으로 옮겨야 할 때다. 이를 위해선 시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시민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묻고,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선 어떤 설계를 해야 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11월 경기도는 포천시가 신청한 ‘2035년 포천 도시기본계획(안)’을 승인해줬다. 도시기본계획은 포천시의 미래와 도시의 장기적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법정 최상위 공간계획이다. 인구는 20만5000명을 목표로 정했다. 지금보다 약 5만5000명이 증가한 수치다.

시는 도시 발전에 대비한 개발 가용지 32.111㎢는 시가지화 예정용지로, 시가지화가 형성된 기존 개발지 31.731㎢는 시가지화 용지로, 나머지 763.068㎢는 보전용지로 토지이용계획을 확정했다.

도시 공간구조는 거점기능 강화를 통한 인구 유출 방지, 도시의 주요 기능을 한 곳에 조성하는 ‘콤팩트시티’ 전략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기존 1도심 2지역 중심에서 1도심(포천), 1부도심(소흘), 2지역 중심(영북, 일동)으로 개편한다.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해 도시 발전 축은 1개 주발전 축과 1개 부발전 축으로 설정했다.

특히 경기 북부의 인구감소를 극복하는 균형발전을 유도했다. 중심지체계의 기능을 분리해 도심·부도심(포천, 소흘)은 양질의 정주기반을 조성하면서 지속적인 인구 유발 및 산업발전의 거점이 되는 콤팩트시티를 구상했다.

반면 지역 중심(영북, 일동)은 한탄강, 역사문화자원 등을 활용한 관광·휴양 산업의 자족 기능 활성화 특화거점으로 계획했다.

현재로선 포천시 도시 발전을 위한 청사진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돈이다. 재정자립도(17.2%)가 열악한 포천시로선 국·도비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국·도비를 확보하지 못하면 자칫 청사진은 휴짓조각에 불과할 뿐이다. 지금까지 시는 수많은 계획을 세웠지만, 예산 부족을 이유로 사업을 축소하거나 폐기한 적도 많다.

이런 이유로 도시는 발전하지 못했다. 이제 더는 기다리면 안 된다. 포천시민이 떠나지 않고, 다른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포천으로 이사를 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 책임은 정치권에 있다. 배지를 가슴에 단 정치인들은 선거 때 시민들한테 포천시를 위해 열심히 일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제 그 약속을 지켜야 한다.

행사장이나 다니고, 빈공약으로 시민들을 우롱해선 안 된다. 시민들이 낸 세금으로 월급을 받는 공무원의 역할도 크다. 모두 합심해 살기 좋은 포천을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만 시민이 행복해질 수 있고, 인구도 덩달아 늘어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